
강아지 훈련은 반려견과 보호자가 더 잘 소통하고, 문제 행동을 줄이며, 건강한 관계를 맺는 데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 보호자도 집에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기본 훈련 5단계를 소개하고, 각 훈련의 의미와 실전 팁, 훈련 시 유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안내합니다.
훈련은 ‘복종’이 아닌 ‘소통’입니다
강아지에게 훈련이란 ‘시키는 대로 따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교감함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한 공통의 언어를 익히는 과정입니다. 아무리 똑똑한 강아지라도 사람의 말, 감정, 규칙을 스스로 이해하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가 먼저 반복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환경을 설명해주는 역할을 해주어야 합니다. 훈련을 통해 강아지는 어디까지 행동해도 되는지, 언제 기다려야 하는지, 보호자를 믿어도 괜찮은지를 배우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생활 편의성뿐 아니라 분리불안, 공격성, 짖음, 배변실수 등 여러 가지 문제 행동 예방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아지를 처음 키우는 보호자도 실천할 수 있도록 집에서 가능한 기본 훈련 5단계를 훈련 순서에 따라 안내하고, 훈련 시간, 보상 요령, 실패 시 대처법과 주의사항까지 실용적인 팁으로 구성했습니다.
초보 보호자도 가능한 강아지 기본 훈련 5단계
1단계: 이름 부르기 & 눈 마주치기
이름을 부르면 즉시 보호자에게 집중하도록 유도합니다. 간단한 간식이나 장난감으로 주의를 끌며 이름을 부른다. 눈을 마주친 순간, 간식을 주며 칭찬 한다. 이때 이름은 명확하고 짧게, 한 음절을 강조해서 부르는 게 좋으며, 주의사항으로 이름을 부를 때 혼내지 마세요. 이름은 긍정 신호로 인식 되어야 합니다.
2단계: “앉아” 훈련
“앉아 “현의 목표는 흥분하거나 산만한 상황에서도 ‘앉아’로 안정 상태 유도 하기 위함이다. 간식을 코 근처에 가져간 뒤, 머리 위로 천천히 이동하거나, 자동적으로 앉는 자세 유도 하여 간식 보상을 한다. 1일 5~10회 반복, 점차 손 제스처만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간식 위치 조절이 핵심이며 천천히 손을 뒤로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앉게 훈련하되 강제로 강제로 엉덩이를 누르거나 억지로 앉아를 시키면 훈련이 아닌 강압으로 인식됩니다
3단계: “기다려” 훈련
자제력 향상, 식사·문 열기·산책 시 폭주 방지를 위한 “기다려”훈련이 필요합니다. “앉아” 상태에서 손바닥을 내밀며 “기다려”, 2~3초 후 보상하고 점차 5초, 10초로 시간 증가, 기다리는 도중 움직이면 “앉아”부터 다시 반복하며 ‘기다려에 대한 보상’ 타이밍이 명확해야 아이가 개념을 익힙니다. 성공률이 높은 환경(조용한 공간)에서 시작하세요.
4단계: “이리 와(come)” 훈련
산책 중 도망 방지, 긴급 상황 시 즉시 복귀 유도를 위한 훈련으로 “이리 와(come)” 훈련을 합니다. 일정 거리에서 이름 부르며 “이리 와!”를 하고 달려오면 간식, 칭찬, 쓰다듬기 등으로보상을 해주고, 점차 거리와 상황(산책 중, 사람 많은 곳) 확대하며 훈련을 하세요. ‘이리 와’는 항상 즐겁게 하고하고 부른 후 혼내면 절대 안 됩니다. 반드시 리드줄이 있는 상황에서만 훈련할 것 (도망 방지)
5단계: “손” & “엎드려” 훈련
“손”, “엎드려” 훈련은 보호자와 교감을 위한 훈련으로 그루밍, 발 관리 등 실생활 활용을 위해 필요한 훈련이다. 간식을 쥔 손을 내밀고 “손” 앞발을 올리면 열어주고 간식 제공 한다. “엎드려”는앉은 상태에서 간식을 바닥 가까이 이동 몸이 따라 내려가면 “엎드려” 보상하며이 손 훈련은 털 관리, 발톱 자를 때 매우 유용합니다. 절대로 강제로 눕히지 마세요. 스스로 자세를 찾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훈련은 보호자와 강아지 사이의 신뢰를 쌓는 시간입니다
모든 훈련은 사랑과 인내, 반복의 힘으로 이루어집니다. 하루에 몇 분씩만 투자하더라도, 아이의 집중력과 이해도는 분명히 향상됩니다. 가장지속성과 일관성, 그리고 훈련이 즐겁게 느껴지도록 만들어주는 보호자의 자세입니다. 실패했다고 혼내기보다는, 성공한 순간을 크게 칭찬하고 기뻐해 주세요. 그 한번의 칭찬이 아이에겐 “나도 보호자와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돌아옵니다. 훈련은 아이의 성장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보호자에게도 ‘아이를 이해하는 법’을 알려주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오늘부터 하루 5분, 아이와 소통하는 훈련을 시작해 보세요..